본문 바로가기

- 읽고 또 읽기/사회 과학

[책 리뷰] 그림자 노동. 이반 일리치. 박홍규 옮김. 미토. (2015)




[완독 2019-23 / 사회과학, 노동] 그림자 노동. 이반 일리치. 박홍규 옮김. 미토. (2015)

만일 당신이 통근 시간대를 피하여 통근할 수 있다면 당신은 이미 성공한 것이다. 만일 당신이 자택에서 아기를 낳을 수 있다면 당신은 필경 엘리트 학교에서 공부한 것과 같다. 당신이 병들었을 때 의사에게 가지 않고 스스로 낫는다면 당신은 타인이 모르는 특별한 지식에 정통하고 있는 것이다. 만일 당신이 신선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면 당신은 부유하고 행복한 것이다. 만일 당신이 당신의 오두막을 지을 수가 있다면 당신은 결코 가난한 것이 아니다. (23)

요즘은 사회과학 분야 그중에서도 노동에 관한 책을 즐겨 읽는다. 그림자 노동 같은 걸 하는 게 지금 나의 직업이기 때문인가 보다. 오늘은 퇴근 무렵 아주 불쾌한 경험을 했다. 고객이라는 이름으로 영업 전략 떠봄과 몰아 붙임을 당했다. 내게 무언가 물어봐 놓고 대답을 듣지도 않고 대답을 가로막은 후 다음 질문을 해댔다. 어쩌라는 건지. 자기 하고 싶은 말만 하다가 갔다. 이런 게 그림자 노동인가? 내게 요구되지 않았지만, 서비스직종으로서 견뎌야 하는 감정 소비+낭비의 시간. 요즘 직업적으로 느끼는 허무함을 극복하고자 사회비판이나 노동 관련 분야의 책을 즐기나 보다. 세상사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나만 이렇게 힘든 게 아니라는 위로를 받고 싶어서.

그런 의미에서 이반 일리치의 그림자 노동은 꼭 한번 읽고 싶었지만 어려웠다. 이 책을 처음 펼친 지 수개월이 지났고, 드디어 어젯밤 꾸역꾸역 다 읽었다. 사회비판이나 노동 경제를 논하기엔 나의 앎의 깊이가 충분하진 않지만, 나라는 사람은 정체되어 고여있지 않음을 추구하는 사람이니까. 덮어버리고 다음 책을 보면 그만이지만, 지금 내 상황의 가장 큰 불만을 해결하고 싶다는 욕구로 읽어냈다. 장하다.

책장을 덮었지만,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한물간 사상가 이반 일리치의 사상을 요즘 누가 즐기는지 모르겠지만, 나라는 사람 자체가 유행의 흐름대로 세상사를 대하는 사람이 아니니 그런 건 문제 되지 않았고,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어떤 것들이 이반 일리치의 책 속 문장에서 만날 수 있었다. 그래서 이 사람의 의견이 궁금했고 지금의 나를 깨우치려면 철학 같은 뜬구름 이야기 말고 이런 글도 필요할 것 같았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는 이반 일리치가 바라보는 세상의 불합리한 구조를 나타낸다. 2, 3, 4장은 세계사 속에 등장하는 ‘보통 사람들이 아무 생각 없이, 다른 의미를 담아 행했던 행동들이 사실은 그림자 노동을 품고 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마지막 5장은 이반 일리치가 생각하는 요즘의 그림자 노동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글을 읽는다는 것이 가진 사회적 의미, 모어와 토박이 언어의 차이, 언어를 학습함으로써 가정에서 당연히 누려야 할 부모와 아이 사이의 교류가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관계로 변질되었다는 점, 상류의 언어를 알고 있는 것이 계급을 쟁취할 수 있다는 점, 민중에 ‘의한’ 연구인지 민중을 ‘위한’ 연구인지 그 의미가 어떻게 섞여버리게 된 건지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성의 임무가 그림자 노동으로 취급받게 된 필연적 요소들. 살면서 평상시 생각해본 적이 없는 이런 내용을 접할 때마다 나의 무지가 부끄럽고, 더 많이 알고 싶다는 욕심이 생긴다. 내가 살고 싶은 삶의 방향성과도 맞닿아 있는 이 사람의 글을 살면서 계속 알아가고 싶다.


위그의 과학과 우리의 과학이 어떻게 다른지 제대로 알려면, 우리는 딘디무스처럼 위그의 용어에 충실하게 과학을 필로소피아로 말하긴 하되 다음과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딘디무스가 말하기를, 과학이란 “잘 알려진 것을 소중히 아끼는 사랑의 태도라기보다는, 이미 맛보았고 그래서 만족을 얻었던 것을 더 얻으려는 욕망에 이끌린 사려 깊은 진리 추구”라는 것이다. (...) 이것은 오늘날 ‘민중에 의한 과학’ 말고는 마땅한 이름이 없다. (153)

이성으로는 비관하되 의지로 낙관하라. -안토니오 그람시. (...) 일리치를 읽는 것은 나 자신과 이 사회를 재발견하고 우리 자신에 대한 희망을 다시 세우는 일이 될 것이다. (24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