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고 또 읽기/인문

[책 추천] 뻘짓은 나만 하는 줄 알았어. 피터 홀린스. 서종민 옮김. 명진서가. (2019)

꽃.개 2019. 8. 1. 22:17



[완독 2019-51 / 인문학. 교양심리학] 뻘짓은 나만 하는 줄 알았어. 피터 홀린스. 서종민 옮김. 명진서가. (2019)

‘뻘짓’이라는 단어가 지닌 뉘앙스 덕분에 가벼운 공감 에세이쯤으로 생각하고 책장을 넘겼지만, 비교적 알찬 심리학적인 뒷받침이 있다. 우리의 모든 행동에 연결된 ‘자연스럽게 나타나지만 약간 바보스러워 후회하는 모든 행동’을 뻘짓이라는 용어로 다양한 상황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가령 ‘뻘짓의 범위는 무한대’(9)이며, ‘기억에 관한 한 자신감은 결코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는다.’(31) 처럼 너무도 당연하지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현상 들을 사례로 들며 설명한다.

더닝 크루거 효과(40)도 마찬가지이다. 더닝 크루거 효과란 특정 부문에서 평균 이하의 능력치를 가진 사람이 자기가 무엇을 모르는지조차 모르는 탓에 스스로를 평균 이상이라고 평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본능과 직관으로 아무 이야기나 지껄였던 지난 내 모습이 떠올랐고, 비슷한 사건들도 기억났다. 어쩌면 생활 속 상당히 많은 순간 나타나는 ‘뻘짓’은 나만이 가진 치부라기보다는, 우리 모두가 가진 자연스러운 현상 같이 느껴진다.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말을 꺼낸 사람, 혹은 현재 상태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주장을 내놓은 사람이 바로 자신의 말을 증명해야 하는 사람이다. 질문을 던진 사람에게 그 질문의 진실성을 입증하라고 요구해서는 안 된다. (90)

우리의 뇌는 가장 한정된 정보를 토대로 곧장 결론 내리기를 좋아하며, 한번 결정을 내린 뒤 돌이키는 일은 거의 없다. (181)

저자 피터 홀린스는 최근 SNS 피드에서 종종 보게 되는 베스트셀러 '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the science of introverts)'의 저자이기도 하다. 영어 제목에 비해 한국어판 제목이 가벼워 보이지만, 덕분에 대중적 인기를 취하는 것 같기도 하다.

뇌 방귀에 맞서려면 무엇보다도 까다로운 일 한 가지를 해내야 한다. '생각'에 대하여 '생각' 해야 하기 때문이다. (225)

피터 홀린스는 꽤 다양한 뻘짓의 사례를 제시하면서 그래도 괜찮아~라며 우리를 위로한다. 나만 그러는 게 아니라 모두 가끔, 이따금 저지르곤 하는 실수라는 것. 그래서 너무 자책하지도 죄책감을 느끼지도 말라고 토닥인다. 가벼워 보이지만, 절대 가볍지 않고, 심리학의 무거움을 덜어낸 재미있는 심리학책을 원한다면 추천한다.

반응형